728x90
반응형
유전알고리즘
생물이 살아가면서 교차 , 돌연변이, 도태 등으로 환경에 적합하도록 진화한다는 가설에 기반을 둔 최적화 기법을 유전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시간 축 상에서 여러 번 계속을 반복해 단계수를 쌓아서 궁극적르오 구하고 싶은 결과에 수렴시켜 나갑니다.
집단성 : 개체 다수를 집단으로 설정해 동시에 탐색할 때는 병렬 연산합니다.
탐구 가능성 : 탐색 공간(설명 변수와 목적 변수 등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의 자세한 사전 지식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다양성: 집단에 있는 개체의 다양성으로 노이즈와 동적 변화에 적응성을 갖게 되므로 견고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1126
도태
교차
돌연변이:
출처 : 처음 배우는 인공지능
반응형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즈 정리_20211130 (0) | 2021.11.30 |
---|---|
기저 함수_20211129 (0) | 2021.11.29 |
그래프 이론_20211120 (0) | 2021.11.20 |
유사도_20211116 (0) | 2021.11.15 |
정규화_20211115 (0) | 2021.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