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SNE
t-Distributed Stochastic Neighbor Embedding: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로 고차원 데이터의 거리를 계산해 저차원으로 옮깁니다.
그리고 자유도가 1인 t분포에 적용해서 차이가 작은지를 확인합니다.
t분포는 정규분포보다 그래프의 아래가 긴 분포이므로 t분포를 이용해 저차원으로 투영하면 거리가 가까운 데이터의 상태는 유지하고 거리가 먼 관계에 있는 데이터의 상태는 더 멀게 만들 수 있습니다.
주성분 분석보다 더 깔끔하게 클러스터 분석을 하는 방법이므로 많이 사용합니다.
출처 : 처음 배우는 인공지능
반응형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 성분 분석 (0) | 2021.12.13 |
---|---|
특잇값 분해_20211213 (0) | 2021.12.13 |
주성분 분석_2021121 (0) | 2021.12.13 |
클러스터 분석_20211208 (0) | 2021.12.09 |
베이즈 정리_20211130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