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문자열 s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숫자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str에 나타나는 숫자 중 최소값과 최대값을 찾아 이를 "(최소값) (최대값)"형태의 문자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s가 "1 2 3 4"라면 "1 4"를 리턴하고, "-1 -2 -3 -4"라면 "-4 -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건
  • s에는 둘 이상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sreturn
"1 2 3 4" "1 4"
"-1 -2 -3 -4" "-4 -1"
"-1 -1" "-1 -1"

 

def solution(s):
    answer = [int(x) for x in s.split()]
    return " ".join([str(min(answer)), str(max(answer))])

s= 	"-1 -2 -3 -4"
solution(s)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따먹기  (0) 2021.12.04
숫자의 표  (0) 2021.12.04
최솟값 만들기  (0) 2021.11.27
행렬의 곱셈  (0) 2021.11.27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0) 2021.11.23
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
  •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
  •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21 + 8(2x4) = 29)

즉,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

배열 A,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배열 A, B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 배열 A, B의 원소의 크기 : 1,000 이하의 자연수
입출력 예ABanswer
[1, 4, 2] [5, 4, 4] 29
[1,2] [3,4] 1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다음, A에서 두번째 숫자인 2, B에서 첫번째 숫자인 3을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4 + 6 = 10)
이 경우가 최소이므로 10을 return 합니다.

def solution(A,B):
    answer = 0
    while A:
        min_a,max_b = min(A), max(B)
        A.remove(min_a)
        B.remove(max_b)
        answer += min_a* max_b

    return answer

A= [1, 4, 2]
B= [5, 4, 4]
solution(A,B)

시간 초과가 나왔다. 수정해야 한다.

def solution(A,B):
    A.sort()
    B.sort(reverse=True)
    answer = 0
    answer = sum([A[i]* B[i] for i in range(len(A)) ])
    return answer

A= [1, 4, 2]
B= [5, 4, 4]
solution(A,B)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의 표  (0) 2021.12.04
최댓값과 최솟값  (0) 2021.12.04
행렬의 곱셈  (0) 2021.11.27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0) 2021.11.23
피보나치 수  (0) 2021.11.20
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 행렬의 곱셈
문제 설명

2차원 행렬 arr1과 arr2를 입력받아, arr1에 arr2를 곱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행렬 arr1, arr2의 행과 열의 길이는 2 이상 100 이하입니다.
  • 행렬 arr1, arr2의 원소는 -10 이상 2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곱할 수 있는 배열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arr1arr2return
[[1, 4], [3, 2], [4, 1]] [[3, 3], [3, 3]] [[15, 15], [15, 15], [15, 15]]
[[2, 3, 2], [4, 2, 4], [3, 1, 4]] [[5, 4, 3], [2, 4, 1], [3, 1, 1]] [[22, 22, 11], [36, 28, 18], [29, 20, 14]]
import numpy as np

def solution(arr1, arr2):
    answer = (np.array(arr1) @ np.array(arr2)).tolist()
    return answer

arr1 = [[1, 4], [3, 2], [4, 1]]
arr2 = [[3, 3], [3, 3]]
solution(arr1, arr2)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댓값과 최솟값  (0) 2021.12.04
최솟값 만들기  (0) 2021.11.27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0) 2021.11.23
피보나치 수  (0) 2021.11.20
N개의 최소공배수  (0) 2021.11.20
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를 JadenCase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s는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
  • s는 알파벳과 공백문자("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첫 문자가 영문이 아닐때에는 이어지는 영문은 소문자로 씁니다. ( 첫번째 입출력 예 참고 )
입출력 예sreturn
"3people unFollowed me" "3people Unfollowed Me"
"for the last week" "For The Last Week"

.split()주의 필요

def solution(s):
    answer = " ".join([i.capitalize() for i in s.split(' ')])
    return answer


s= "3people unFollowed me"
solution(s)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솟값 만들기  (0) 2021.11.27
행렬의 곱셈  (0) 2021.11.27
피보나치 수  (0) 2021.11.20
N개의 최소공배수  (0) 2021.11.20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2021.11.17
728x90
반응형

출처 : 피보나치 수

 

코딩테스트 연습 -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F(3) = 1 + 2 = 3 F(5) = F(3) + F(4) =

programmers.co.kr

  • 피보나치 수
문제 설명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 F(2) = F(0) + F(1) = 0 + 1 = 1
  • F(3) = F(1) + F(2) = 1 + 1 = 2
  • F(4) = F(2) + F(3) = 1 + 2 = 3
  • F(5) = F(3) + F(4) = 2 + 3 = 5

와 같이 이어집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nreturn
3 2
5 5
입출력 예 설명

피보나치수는 0번째부터 0, 1, 1, 2, 3, 5, ... 와 같이 이어집니다.

처음에는 피보나치를 아래처름 작성하였다. 

def solution(n):
    results = [i for i in range(2)]
    if n == 0 or n == 1:
        answer = results[n]
        return answer
    for i in range(2, n+1):
        answer= (results[i-2] + results[i-1])
        results.append(answer)
    return answer
테스트 1 통과 (0.01ms, 10.2MB)
테스트 2 통과 (0.01ms, 10.3MB)
테스트 3 통과 (0.01ms, 10.2MB)
테스트 4 통과 (0.01ms, 10.2MB)
테스트 5 통과 (0.01ms, 10.3MB)
테스트 6 통과 (0.01ms, 10.2MB)
테스트 7 실패 (런타임 에러)
테스트 8 실패 (0.30ms, 10.3MB)
테스트 9 실패 (0.05ms, 10.2MB)
테스트 10 실패 (런타임 에러)
테스트 11 실패 (0.08ms, 10.2MB)
테스트 12 실패 (0.10ms, 10.3MB)
테스트 13 실패 (런타임 에러)
테스트 14 실패 (런타임 에러)
채점 결과
정확성: 42.9
합계: 42.9 / 100.0
 
결과는 런타임 에러 등 이 나왔다. 
그래서 문제를 확인 하였다. 
확인 하였더니 조건이 누락되었다.
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 이 부분이다.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라고 하여서 
def solution(n):
    results = [i for i in range(2)]
    if n == 0 or n == 1:
        answer = results[n]
        return answer
    for i in range(2, n+1):
        answer= (results[i-2] + results[i-1])%1234567
        results.append(answer)
    return answer

함수를 사용해서 하면 좋았을 것인데 메모리 문제를 생각해서 list를 담아서 했다.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렬의 곱셈  (0) 2021.11.27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0) 2021.11.23
N개의 최소공배수  (0) 2021.11.20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2021.11.17
신규 아이디 추천  (0) 2021.11.13
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 N개의 최소공배수
문제 설명

두 수의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란 입력된 두 수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와 7의 최소공배수는 14가 됩니다. 정의를 확장해서, n개의 수의 최소공배수는 n 개의 수들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가 됩니다. n개의 숫자를 담은 배열 arr이 입력되었을 때 이 수들의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arr은 길이 1이상, 15이하인 배열입니다.
  • arr의 원소는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arrresult
[2,6,8,14] 168
[1,2,3] 6

최소공배수 = 두 자연수의 곱 / 최대공약수

def gcd(n1, n2):
    if n2== 0:
        return n1
    else:
        return gcd(n2, n1%n2)

def solution(arr):
    arr.sort()
    answer = arr[0]
    i = 1
    while i < len(arr):
        answer *= arr[i] // gcd(answer, arr[i])
        i+=1 
    return answer

arr = [2,6,8,14]	
solution(arr)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0) 2021.11.23
피보나치 수  (0) 2021.11.20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2021.11.17
신규 아이디 추천  (0) 2021.11.13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2021.11.11
728x90
반응형

출처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코딩테스트 연습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

programmers.co.kr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문제 설명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가 일치
3 4개 번호가 일치
4 3개 번호가 일치
5 2개 번호가 일치
6(낙첨) 그 외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 번호3110451619결과
최고 순위 번호 31 0→10 44 1 0→6 25 4개 번호 일치, 3등
최저 순위 번호 31 0→11 44 1 0→7 25 2개 번호 일치, 5등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입출력 예lottoswin_numsresult
[44, 1, 0, 0, 31, 25] [31, 10, 45, 1, 6, 19] [3, 5]
[0, 0, 0, 0, 0, 0] [38, 19, 20, 40, 15, 25] [1, 6]
[45, 4, 35, 20, 3, 9] [20, 9, 3, 45, 4, 35]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알아볼 수 없는 번호들이 아래와 같았다면, 1등과 6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당첨 번호381920401525결과
최고 순위 번호 0→38 0→19 0→20 0→40 0→15 0→25 6개 번호 일치, 1등
최저 순위 번호 0→21 0→22 0→23 0→24 0→26 0→27 0개 번호 일치, 6등

입출력 예 #3
민우가 구매한 로또의 번호와 당첨 번호가 모두 일치하므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는 모두 1등입니다.


  1. 실제로 사용되는 로또 순위의 결정 방식과는 약간 다르지만, 이 문제에서는 지문에 명시된 대로 로또 순위를 결정하도록 합니다.  

 

def solution(lottos, win_nums):
    win_num = [6,5,4,3,2,1]
    answer = []
    result = sum([1 for i in lottos for j in win_nums if i == j])
    answer = [i+result if i+result != 0 else 1 for i in range(lottos.count(0)+1)]
    return win_num.index(answer[-1])+1, win_num.index(answer[0])+1

lottos =[44, 1, 0, 0, 31, 25]
win_nums = [31, 10, 45, 1, 6, 19]
solution(lottos, win_nums)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보나치 수  (0) 2021.11.20
N개의 최소공배수  (0) 2021.11.20
신규 아이디 추천  (0) 2021.11.13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2021.11.11
키패드 누르기  (0) 2021.11.04
728x90
반응형

출처 : 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카카오에 입사한 신입 개발자 네오는 "카카오계정개발팀"에 배치되어, 카카오 서비스에 가입하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네오"에게 주어진 첫 업무는 새로 가입하는 유저들이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지 않는 아이디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아이디와 유사하면서 규칙에 맞는 아이디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카카오 아이디의 규칙입니다.

  • 아이디의 길이는 3자 이상 15자 이하여야 합니다.
  •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 문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 마침표(.)는 처음과 끝에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네오"는 다음과 같이 7단계의 순차적인 처리 과정을 통해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는 지 검사하고 규칙에 맞지 않은 경우 규칙에 맞는 새로운 아이디를 추천해 주려고 합니다.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new_id 라고 한다면,

1단계 new_id의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2단계 new_id에서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제거합니다.
3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4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5단계 new_id가 빈 문자열이라면, new_id에 "a"를 대입합니다.
6단계 new_id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new_id의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new_id의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7단계 new_id의 길이가 2자 이하라면, new_id의 마지막 문자를 new_id의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예를 들어, new_id 값이 "...!@BaT#*..y.abcdefghijklm" 라면, 위 7단계를 거치고 나면 new_id는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1단계 대문자 'B'와 'T'가 소문자 'b'와 't'로 바뀌었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jklm"

2단계 '!', '@', '#', '*' 문자가 제거되었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jklm"

3단계 '...'와 '..' 가 '.'로 바뀌었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jklm"

4단계 아이디의 처음에 위치한 '.'가 제거되었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jklm"

5단계 아이디가 빈 문자열이 아니므로 변화가 없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jklm"

6단계 아이디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므로, 처음 15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이 제거되었습니다.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

7단계 아이디의 길이가 2자 이하가 아니므로 변화가 없습니다.
"bat.y.abcdefghi"  "bat.y.abcdefghi"

따라서 신규 유저가 입력한 new_id가 "...!@BaT#*..y.abcdefghijklm"일 때, 네오의 프로그램이 추천하는 새로운 아이디는 "bat.y.abcdefghi" 입니다.


[문제]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를 나타내는 new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오"가 설계한 7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의 추천 아이디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new_id는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new_id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ew_id에 나타날 수 있는 특수문자는 -_.~!@#$%^&*()=+[{]}:?,<>/ 로 한정됩니다.


[입출력 예]nonew_idresult
예1 "...!@BaT#*..y.abcdefghijklm" "bat.y.abcdefghi"
예2 "z-+.^." "z--"
예3 "=.=" "aaa"
예4 "123_.def" "123_.def"
예5 "abcdefghijklmn.p" "abcdefghijklmn"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7단계를 거치는 동안 new_id가 변화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단계 변화 없습니다.
2단계 "z-+.^."  "z-.."
3단계 "z-.."  "z-."
4단계 "z-."  "z-"
5단계 변화 없습니다.
6단계 변화 없습니다.
7단계 "z-"  "z--"

입출력 예 #3
7단계를 거치는 동안 new_id가 변화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단계 변화 없습니다.
2단계 "=.="  "."
3단계 변화 없습니다.
4단계 "."  "" (new_id가 빈 문자열이 되었습니다.)
5단계 ""  "a"
6단계 변화 없습니다.
7단계 "a"  "aaa"

입출력 예 #4
1단계에서 7단계까지 거치는 동안 new_id("123_.def")는 변하지 않습니다. 즉, new_id가 처음부터 카카오의 아이디 규칙에 맞습니다.

입출력 예 #5
1단계 변화 없습니다.
2단계 변화 없습니다.
3단계 변화 없습니다.
4단계 변화 없습니다.
5단계 변화 없습니다.
6단계 "abcdefghijklmn.p"  "abcdefghijklmn."  "abcdefghijklmn"
7단계 변화 없습니다.

import re
def solution(new_id):
    answer = re.sub("[^a-z0-9._-]","",new_id.lower())
    answer = re.sub("\.\.+",".",answer)
    answer = re.sub("^\.|\.$","",answer)
    answer ='a' if len(answer)== 0 else answer
    answer = re.sub('\.$','',answer.replace(' ','')[:15])
    answer = answer.ljust(3, answer[-1]) if len(answer) < 3 else answer
    return answer

new_id =	"z-+.^."
solution(new_id)
반응형

'문제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개의 최소공배수  (0) 2021.11.20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2021.11.17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2021.11.11
키패드 누르기  (0) 2021.11.04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0) 2021.10.31

+ Recent posts